본문 바로가기

미래를 여는 지혜/육아정보

[영아놀이발달] 사회적 놀이의 발달 단계


 

*사회적 놀이의 발달 단계

 

 영유아가 또래 영유아와 상호 작용 하는 능력인 사회적 놀이는 영유아기 동안 점차적으로 발달하며, 특히 취학전 유아기 동안 급속하게 발달한다.

영유아기의 사회적 놀이의 경험은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시작되며, 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해 초기 사회적 놀이에 필요한 여러 가지 능력을 획득한다.

영아와 성인의 상호 작용은 상호 개입, 교대하기, 반복 행동을 포함하므로 중요하며 이러한 경험이 풍부한 영아는 타인과의 상호 작용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하며, 사회적인 문제 해결에서 친 사회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즉, ‘상호 개입’ 은 성인이 영아를 양육하는 가운데 서로 반응을 주고 받으면서 나타난다. 교대하기는 까꿍놀이와 같이 영아가 성인과 함께 하는 놀이에서 영아는 사회적 행동을 배우게 되며 사회적 놀이에 흥미를 가지게 되면서 나타나는 것이다. ‘반복 행동’ 은 상호 작용이 연속되는 것을 확장시켜 주고 상호간의 약속과 관심을 유지시켜 준다 (John-son, Christie, & Yawkey).

영유아가 놀이를 하면서 경험하는 상호 개입, 교대하기, 반복 행동과 같은 상호 작용은 상호 작용은 사회적 발달의 기초가 되며, 사회적 놀이 발달을 촉진시킨다. 영유아가 성인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사회적인 능력이 발달하면, 또래 친구와 함께 협동하여 놀이를 하는 사회적 놀이를 할 수 있다.

영아기의 사회적 세계는 놀이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양육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영유아는 초기 게임과 가작화 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능력을 획득한다.

Damast, Tamis-LeMonda 그리고 Bornstein 의 연구와 Fiese 의 연구 모두에서 어머니들은 영아 자녀의 놀이 수준에 적합하게 또는 한 단계 높게 놀이를 조절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어머니들은 자녀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좀 더 복잡한 놀이를 지원한다.

더 나아가 어머니는 영아의 발달에 따라 놀이에 덜 지시적이 되고 놀이 제안을 덜하여 영아의 자율성을 지원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Damast, Tamis-LeMonda 그리고 Bornstein 은 직접 개발한 ‘경험적 놀이 척도(empirical play scale)’를 사용하여 영아의 놀이 발달에 대한 지식을 평가하였다.

 

 *경험적 놀이 척도

구분

질문에 대한 영아의 행동

 

탐색

1.입에 물기

2.단순한 조각

 

비상징

3.단일 기능

4.부적절한 조합

5.지작에 기초한 조합

6.기능에 기초한 조합

 

상징

7.자기

8.대행 생물

9.대행 무생물

10.연속적인 자기

11.연속적인 대행 생물

12.연속적인 대행 무생물

13.대리적 경험

14.자기 대체

15.대행 생물 대체

16.대행 무생물 대체

17.연속적인 대리 경험

18.연속적인 자기 대체

19.연속적인 대행 생물 대체

20.연속적인 대행 무생물 대체

21.대리적 대체

22.연속적인 대리적 대체

23.자기 제거

24.감정

 

 

1. 블록 빨기

2. 수저 잡고 쳐다보기

 

 

3. 모형 차바퀴 굴리기

4. 차에 모형 접시 올려놓기

5. 모형 접시 쌓기

6. 주전자 뚜껑 닫기

 

 

7. 모형 숟가락으로 떠먹기

8. 모형 스펀지로 엄마 씻어 주기

9. 인형 달래기

10. 모형 컵 안을 휘젓고 모형 숟가락으로 떠먹기

11. 모형 주전자로 모형 컵에 물을 붓고 엄마에게 먹이기

12. 담요로 인형을 덮어 주고 잠 재우기 위해 토닥이기

13. 인형이 인사하며 손 흔들게 하기

14. 블록을 스펀지라고 하면서 자기 얼굴 닦이

15. 모형 접시를 모자라고 하면서 엄마 머리 위에 씌우기

16. 숟가락을 빗이라고 하면서 인형 머리 빗기기

17. 모형 곰을 모형 차로 걸어가게 해서 운전하기

18. 빗으로 모형 냄비를 휘젓고 빗으로 떠먹기

19. 블록으로 엄마를 씻기고 모형 스폰지로 엄마 입 닦기

20. 블록을 스펀지라고 하면서 인형을 씻기고 수건으로 닦아주기

21. 컵을 차라고 하면서 인형이 운전 하도록 하기

22. 턱받이를 코트라고 하면서 인형에게 입히고 걸어가게 하기

23. 한 인형이 다른 인형에게 키스하게 하기

24. 인형을 떨어뜨리고 울게 하기

 

 Singer와 Singer는 초기 사회적 맥락이 놀이의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가작화의 특별한 세계에 대한 느낌을 많이 내포하고 있는 ‘새끼 돼지가 시장에 가다’, ‘까꿍놀이’ 와 같은 게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놀이 경험은 가상적인 놀이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술 및 사회 놀이 기술도 향상시켜 준다. 영아 놀이의 사회적 특징은 놀이 상대자와의 협력을 통한 상호 작용이 포함된다. 여기에는 대개 부모, 손위 형제, 친척, 친숙한 나이 많은 유아나 성인들이 해당된다. 앞에서 Damast와 동료 연구자들이 실시한 연구에서 제시되었듯이, 대개 영아나 유아는 자신의 한계와 능력을 잘 아는 사람, 놀이가 보다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도와주는 사람과 놀이한다. 반복은 일련의 상호 작용을 확장시키고 상호 참여와 관심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초기의 즐거운 상호 작용은 일반적으로 사회적 발달의 기초, 특히 사회놀이 발달의 기초를 제공한다. 이처럼 초기의 게임, 일상적 행동, 교환 행동의 이면에 있는 목적은 단순히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에 참여하는 것이다.

유아기 동안 유아는 보다 성숙해지고 다양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경험을 얻게 되면서 상호 작용 놀이의 기술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Parten 의 이론은 영유아기 동안 놀이의 사회적 양상에 관심을 기울인다. Parten은 사회적 성숙도가 가장 낮은 것(혼자놀이)에서 시작해서 가장 높은 것(협동놀이)까지 6가지 형태의 놀이를 정의하였다. 오늘날 대부분의 연구가들은 Parten의 ‘사회적 놀이 단계’ 를 놀이의 형태를 잘 설명한 것으로 간주하는데 그 이유는 영유아가 커가면서 그 단계를 따르기보다는 사회적 놀이 형태 타입을 순서에 관계없이 앞뒤로 거치기 때문이다 (Monighan-Nourot, Scales, Van Hoom, & Almy) 는 Parten의 사회적 놀이 6단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Parten의 사회적 놀이 6단계

형태

영유아의 특성

비참여적 행동

놀이에 참여하지 않고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은 듯이 보인다. 신체를 가지고 놀고, 의자에 앉았다 일어났다 하며, 목적 없이 어슬렁 걸어 다닌다.

방관자적 행동

관찰하고, 질문하고, 다른 영유아들에게 말을 걸지만, 놀이 자체에 참여하지는 않는다. 보거나 들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한다. 지금 진행중인 놀이에 언제 참여할지를 결정하거나, 어떤 활동을 할지 선택하기 위해 방관자적 태도를 취할 수도 있다.

혼자

놀이

독립적으로 놀이를 하고 다른 영유아를 참여시키지 않는다. 자신의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대부분이 2~3세 영유아이다. 그 이상 연령기의 영유아는 개인적인 욕구나 개인적인 극놀이를 구성하기 위해서 혼자 놀기를 선택한다.

병행

놀이

다른 영유아들 주변이나 가까이에서 동일한 놀이를 하지만, 서로 접촉하거나 간섭하지 않고 혼자서 놀이하는 형태이다. 놀잇감을 빌려주기도 하지만, 놀이는 각각 한다. 취학 전 유아들의 전형적인 유형이고 집단 놀이의 초기 단계로 간주된다.

만 2세반~3세반 사이에 많이 나타나는 놀이 유형이다.

연합

놀이

유사한 활동을 하며 또래 영유아들과 놀이한다. 의사 교환 중에는 질문, 다른 영유아의 놀잇감 가지고 놀기 등이 포함된다. 그룹에 참여할 가능성이 잇는 영유아들을 포섭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역할을 분담하거나 놀이 내용이 조직적으로 전개되지는 못한다. 때때로 병행놀이에서 협동놀이로 곧바로 옮겨가기도 한다.

만 3.5~4.5세에 나타나는데, 만 4세반(6세 반)까지 많이 나타난다.

협동

놀이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복잡한 사회적 관계에 참여한다. 타협, 일의 분배, 역할분담, 놀이 주제 구성 등을 포함한다. 역할을 바꾸기도 하고 그룹에 대한 소속감이 강하다. 결과물을 만들기 위한 그룹을 조직하고, 어떠한 상황을 연극으로 하기도 하며 형식이 있는 게임을 한다.

만 4세반 이후에 나타나는 놀이형태이다.

 

 

 

 Howes와Matheson은 영아기에서 유아기까지 48명 유아를 대상으로 사회놀이와 사회적 가작화놀이의 발달을 종단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영아들이 13~15개월부터 시작되었으며, 두 명의 관찰자들이 6개월마다 이틀 연속으로 교실의 자유놀이 시간을 관찰하였는데, 매번 측정에서 각 유아당 4시간 분량의 관찰 자료을 얻었다. 영아와 유아의 사회놀이 관찰 및 기록 체계를 사용하였는데, 이 관찰 방법은 원래 Howes가 개발한 것이다. 이 관찰 체계는 사회 가작화놀이에 대한 두 가지를 측정하도록 고안되었는데, 하나는 협동적 가작화놀이이며, 다른 하나는 복잡한 사회 가작화놀이 이다. 후자는 놀이에서 상위 의사소통의 출현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Howes의 관찰 체계는 Parten의 병행놀이를 토대로 사회놀이, 특히 병행놀이를 보다 세부으로 분석하고 있다. Howes를 비롯한 여러 연구자들이 개발한 사회놀이 범주가 제시되어 있다.

 

 ◈  사회놀이 범주 

 

Parten(1932)

Howes(1980)

Howes&Matheson(1992)

발달단계

각 범주는 두 영유아 간에 상호 작용의 상호성, 복잡성의 증가를 나타냄.

각 범주는 두 영유아 간의 상호 작용의 상호성, 복잡성, 의사소통 및 상위 의사소통의 증가를 나타냄.

 

혼자놀이-혼자 또는 독립적으로 놀기,각자 다른 활동하기, 다른 영유아에 대하여 관심 없음.

 

병행놀이-각자 독립적으로 놀지만 다른 영유아들 가까이 또는 그 속에서의 놀이,유사한 놀이감과 활동하기, 함께놀이하는 것은 아니지만 곁에 있음.

 

연합놀이-하는 놀이,다른 영유아와 함께 하는 놀이, 공통적인 활동에 대한 대화하기, 집단의 관심보다는 자기의 흥미를 더 우선시함.

 

협동놀이-조직화된 협동, 역할의 분화, 보충적 활동이 나타남.

 

참여적 병행 놀이-비슷한 활동에 참여하되 서로에게 관심 없음.

 

상호 인식 놀이-유사한 활동과 눈마주치기와 서로에 대한 인식, 언어적 대화나 다른 사회적 관계는 없음.

 

 

단순 사회놀이-말하기,웃기,

놀이감 제공하기와 같이 사회적 관계를 위한 유사한 활동을 함.

 

 

 

보완적 놀이-서로를 인식하고

같은 활동에서 협력하지만 사회적 관계는 없음.

 

상호 보완적 놀이-사회적 관계속에서 같은 활동을 하며 협력함.

 

병행놀이-거리상으로 가깝고 유사한 활동을 하지만 서로에 대한 관심이나 인식이 없음.

 

병행적 인식 놀이-거리상으로 가깝고 유사한 활동을 하며 눈마주치기와 상호 인식을 함.

 

 

 

단순 사회놀이-유사한 활동에 참여하며 눈마주치기와 말하기, 주기, 잡기 등의 사회적 관계가 있음.

 

 

상호보완적 놀이-사회적 관계의 출현과 ‘행동에 기초한 역할 전환’ 이 이루어 짐(예: 숨고 찾기, 쫓고 도망가기 등).

협동적 사회 가작화 놀이-보충적 역할과 의사소통을 하면서 조직화된 구성놀이 또는 사회 극놀이를 수행함.

 

복합 사회 가작화 놀이-놀이에 대한 의사소통이나 상위 의사소통으로 조직화된 구성놀이나 극놀이에 참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