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를 여는 지혜/육아정보

[아동관련 강의] 아이의 미래를 생각하는 토크콘서트 - 정재승

▪ 정재승(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 ‘왜’라고 질문을 자주하는 경우는 애정결핍일 수 있다. - 스스로 답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아이가 영재일 가능성이 높음

 톰소여 효과 - 모든 욕망은 결핍으로부터 시작.(그러나 욕망 이전에 대령함, 자발적인 것 없이 대령하고 있음/ 풍족한 상태에 살고 있어서 결핍이 없음. 자발적 동기로 충만한 아이를 만들어야 함. 일도 놀이처럼 여길 수 있게. 욕망을 잃어버린 아이들을 교육하는 것이 힘듦)

 창의적인 것을 개발하기 위해 상식,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게 사고.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과 연결지어 일부러 의도적으로 사용할 필요. 다른 뇌를 쓰는 연습

 Challenge: 스파게티+마시멜로+테이프를 이용해 18분 동안 높게 쌓기. 전문직보다 유치원생의 경우 더 높게 쌓음. 계획 없이 한 번 쌓아봄. 문제 해결의 시작

 완수해야하는 것은 계획이 아니라 목표이다. 목표를 위해 계획은 끊임없이 수정해야 함. / 비현실적인 계획을 생산적인 수정을 해야함.

 Challenge를 상금을 주고 경쟁을 시키자 의미가 없어짐. 처벌, 보상은 근본적으로 문제를 고민하는게 아니라 처벌, 보상 피해를 피하는 수준으로 일을 하게 됨. ‘실패해도 괜찮아~’라는 인식 필요

 인생의 목표는 성공이 아니라 성숙이다. 실패, 성공도 성숙의 자양분. 비젼에 대한 분명한 것, 적극적으로 길을 잃는 경험이 필요하다.

 자발적 동기가 있는 아이로 키우는 것이 중요.

 다른 아이와 어떻게 다른 관점, 다른 지식을 경험하게 할 것인가?

 뇌세포를 아무렇게나 만든 후 학습에 의해 지워가는 것. 가지치기를 잘해야 정교한 네트워크. 뇌영역별로 가지치기 시기가 다른데, 5세 이전에는 오감, 감정표현 다듬고, 사회성 키우는 것에 집중. 측두엽 - 언어, 수학을 할 수는 있지만 스트레스가 많아지고 부모, 친구와 관계가 망가짐

 언어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배우는 것으로 디자인되어있음. 노출이 아니라 상호작용이 중요함. 관계를 통한 동기 만들기가 중요.

 애들은 창의성을 키울 필요가 없다.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 필요. 영어, 수학을 가르치느라 창의성을 놓치는 것에 주의할 필요

 레고블록 쌓는 것은 절차적 과정, 공부에 도움이 되는 것.

 놀거리가 없어서 장난감을 만들어 놀이할 때 창의성이 늘어남.

 5살 이전에 50%의 뇌는 놀이할 때, 50%는 잘 때 사용하고 있음. 잠이 부족한 것은 충분히 잘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필요.

하루에 1~2시간 혼자 책상에 앉아서 도움 없이 보내는 시간 필요.

누가 가르쳐준 것을 외우고 따라하는 시간이 아니라 혼자 만지는 것을 가만 두는 시간이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