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담/이야기치료

[이야기치료] 이야기치료란?

이야기 치료

 

 우리 삶은 마치 이야기와 같다.

 기본 줄거리를 바탕으로 여러가지 사건을 시간순으로 보여주면서 전체적으로 주제를 가지고 있지만, 나는 누구인가, 내 인생은 어떤 인생인가라는 주제는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

 문제 이야기 ‘지배적 이야기’를 문제 이야기 경청 - 문제 이야기 해체, 대안이야기 구축으로 이어지는 치료적 과정을 통하여 내담자와 함께 문제이야기를 대안이야기로 다시 쓸 것을 제안한다.

 인생을 사건, 순서, 구성, 주제를 가진 것으로 봄

 

 

* 이야기치료의 철학적 배경

  이야기 은유 - 포스트모던 인문학적 은유, 후기구조주의 입장을 표방하면서 문제의 생성에 작용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해체하고 인간 삶의 의미와 정체성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새롭게 구성되어 가도록 돕는 데 역점

 

 

* 기본 전제

1) 인간은 능동적 행위자

 - 자신의 경험을 만들어내는 존재, 해석하는 존재

2) 이야기는 삶을 반영하는 매체이자 도구

 - 이야기는 개인의 삶을 반영하는 도구이자 개인의 삶 자체를 만들어내고 나아가 개인의 정체성을 만들어내는 도구이다.

  특정한 사건을 이야기 할 대 시간 순서에 따라 특정한 주제를 염두에 두고 줄거리를 만든다.

  이야기를 말하는 과정에서 삶의 경험을 해석하거나 나름의 의미를 붙이면서 우리 삶을 그려 내게 되며, 또 그렇게 그려진 삶이 내가 된다.

3) 경험은 사회문화적 산물

 - 개인이 자신의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는 특정 역사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받음

4) 정체성은 사회적 산물

 - 사회적으로 구성. 개인의 정체성은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만들어지고, 또다시 만들어지는 과정을 반복.

    다른 사람이 어떻게 보는가 , 타인의 인정을 받는 과정을 통해 온전히 자신의 것이 된다.

5) 삶은 복합적인 이야기

 - 삶은 다양한 목적을 가진 복합적인 이야기.  여러 가지 이야기, 복합적인 목표.

    이야기치료에서는 그동안 망각되고 간과되어 온 개인의 삶의 지식과 기술을 찾아낸다.

    내담자가 선호하는 이야기, 그 속에 깃들어 있는 삶의 목적이 무엇인지 질문하는 과정

6) 문제와 사람은 별개

 - 문제가 되는 것은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 그 자체.

   사람을 문제시 하는 것은 문제의 소재를 개인의 내면 또는 개인의 정체성에서 찾는 실천 방식에서 비롯.

7) 의도상태는 인간 삶의 방향

 - 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지향하는 바는 그의 의도, 목적, 희망, 가치 꿈, 헌신의 대상을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다.

 

* 치료 목표 및 치료 과정

1) 치료 목표

 - 단기적으로는 내담가족이 호소하는 문제를 감소시키는 데 초점

   궁극적 목표는 내담자 가족 스스로가 자신들이 선호하는 방향으로 자기 가족의 이야기를 써 나갈 수 있게 되는데

2) 치료 과정

 - 내담자의 이야기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데 필요한 질문을 유형으로 나누고 각각을 지도에 비유

   대략문제의 해체- 독특한 결과의 해체 - 대안적 이야기 구축 - 대안적 정체성 구축

   치료의 시작은 사람과 문제를 분리하고 문제의 내력과 문제형성의 사회적 맥락을 탐색

 

* 치료자 역할 및 치료 기법

1) 치료자 역할

탈중심적이고 영향력 있는 위치. - 억압적 권력구조의 영향을 해체하는 데 민감해야 하는 존재

탈중심적 : 내담 가족이 제시하는 자신들의 이야기나 삶의 지식과 기술에 우선순위

영향력 : 질문과 반영을 통해 가족이 대안적 인생스토리를 좀 더 풍부하게 이야기하고, 그간 삶에서 간과되었던 영역으로 발을 들여놓고 탐색하며, 새롭게 발견한 삶의 지식과 기술 가운데 현재의 문제, 곤경 우려를 다루는데 적절한 것에 가족 스스로가 훨씬 더 친숙해지도록 돕는다.

 

2) 치료적 기법

(1) 문제의 경청과 해체 : 입장 진술 지도 1

① 가족의 문제 이야기를 경청하기

가족은 ‘문제로 가득찬 이야기’ 뻔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빈약한 설명을 내놓을 때, 그들이 체험하는 어려움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격려, 지배적인 문제와는 정 반대되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에 열린 자세.

앞뒤가 맞지 않는 이야기, 모순, 틈새. / 삶의 의미,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게 됨

cf) 해결중심 : 잘했던 것은 무조건 초점.

 

② 사람과 문제를 분리하기

사람들은 문제를 내면화하고 있다.(불안해요, 우울해요) 우울한 마음에 이름을 붙여서 사람과 문제는 별개라는 생각.

외재화시키게 되면 문제와 관련된 더 많은 이야기가 나올 수 있다.

문제를 상황이나 대인관계의 산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함 / 문제와 삶의 전체 맥락 속의 관계

 

③ 문제의 영향력 탐색하기

문제의 맥락, 문제가 내담자의 삶에 이제까지 어떤 영향을 끼쳐왔으며 현재는 어떠한지.(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직장동료관계 등)

또한 문제를 키우는 좀 더 광범위한 문화적 신념, 생각, 관습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더 나아가 문제가 삶의 목적과 희망, 열망,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사람의 영향력은 미미하지만 내담자가 그 마음을 통제할 수 있었을 때는 언제인지를 탐색할 수 있다.

 

(2) 독특한 결과의 해체

독특한 결과 : 문제의 줄거리와 맞지 않는 부분을 해체- 내담자가 원하는 긍정적인 삶의 모습을 담고 있는 것

문제에 젖어있는 상황에서 독특한 이야기 - 스쳐지나간 이야기, 독특한 결과를 끌어온다.

 

(3) 대안적 이야기의 구축 : 스캐폴딩 지도

행동영역 : 과거에 행했던 일을 말, 순서대로 엮음. 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무슨 일을 했는가 6하원칙 중 왜를 빼고 질문(ex, 잠깐 그 때로 돌아가서 어떻게 대비할 수 있었는지, 무엇을 하려고 했었는지, 이번일이 처음인지, 아주 특이한 일인가요? )

정체성 영역 - 행동영역이 어떻게 정체성에 영향을 주었는지. / 자질, 특성, 의도, 목적, 희망, 비젼, 가치, 믿음, 소신, 헌신 (ex, 어떤 기대를 가지고 그런 일(독특한 결과)를 했지요?)

당신의 삶에서 뭐가 중요해서 참았었나요?(정체성 영역) - 가정을 지키는 것이 중요했죠 - 최근의 행동(행동영역) - 아픈데도 그렇게 했었다. -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지요? (정체성 영역)

그 사람의 감정을 중요시하지 않음, 습관적으로 반응, 질문 - 사회적 구성 / 왜 화나는지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화난 감정에 대한 의미, 가치.

 

(4) 대안적 정체성의 구축 : 회원 재구성의 지도

회원 재구성은 인생 안에 다양한 회원이 있다고 할 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도 회원으로 계속 묶고 있는 사람들을 재정리 하는 것이다.

삶의 회원으로서의 자격을 유지 또는 박탈, 강등, 강화 등에 대해 재정리하는 작업이다.